반응형
호르무즈 해협은 페르시아 제국 시대(기원전 6세기)부터 비단, 향신료, 보석, 진주가 오가던 고대의 보물의 바닷길이라고 불릴 정도의 실크로드 해상 루트의 일부였습니다. 이 때문에 ‘호르무즈’는 페르시아의 황금문(Golden Gate)이라고도 불렸습니다. “호르무즈”라는 이름은 고대 조로아스터교의 신 ‘Ahura Mazda(아후라 마즈다)’에서 유래했습니다.
호르무즈섬’은 중세 유럽인들의 환상의 섬이었습니다. 13세기 무렵, 유럽의 상인과 항해사들은 호르무즈섬(해협 근처의 섬)을 “향신료가 나무에 열리고, 진주가 해변에 널린 곳”처럼 묘사했습니다. 이탈리아 여행가 마르코 폴로도 이 지역을 극찬하며, “세상에서 가장 아름답고 부유한 상업 도시 중 하나”라고 적기도 하였습니다. 참고로, 포르투갈은 16세기 초 이 섬을 점령하고 ‘호르무즈 왕국’을 세우며 인도양 교역을 장악하려 한 일도 있었습니다.
현재 호르무즈 해협( Strait of Hormuz)은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전략적 해협 중 하나로, 특히 석유와 에너지 수송로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지정학, 군사, 경제 등 여러 분야에서 큰 의미를 가지며, 중동의 긴장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 호르무즈 해협에 대한 기본 정보
항목 | 설명 |
위치 | 페르시아만(Arabian Gulf)과 오만만(Gulf of Oman) 사이 |
인접국 | 북쪽 : 이란 / 남쪽: 아랍에미리트(UAE), 오만 |
길이 | 약 167km |
가장 좁은 너비 | 약 33km (선박 항로 기준 약 3.2km 폭의 2개 항로) |
수심 | 평균 약 60m (대형 선박 통과 가능) |
● 전략적 중요성
1. 글로벌 석유 수송의 핵심 통로
- 전 세계 해상 원유 수송량의 약 20%, 하루 약 1,800만 배럴 이상이 이 해협을 통과합니다.
- 주요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 이라크, UAE, 쿠웨이트, 카타르, 이란 등에서 수출하는 석유가 대부분 이 해협을 거쳐 세계로 운송됩니다.
- 호르무즈 해협이 막히면 세계 석유 공급망에 즉각적이고 치명적인 충격이 발생합니다.
![]() |
![]() |
2. 군사적 요충지
- 이란은 북쪽에 위치하며, 군함과 미사일, 혁명수비대(IRGC) 해군을 이 해협 주변에 집중 배치하고 있습니다.
- 미국, 영국, 프랑스, 사우디아라비아 등도 자국 이익 보호를 위해 정기적으로 군함을 파견하고 있습니다.
- 분쟁 가능성 상존 : 미국-이란 긴장, 유조선 피습 사건, 드론 격추 사건 등으로 인해 국제사회가 항상 주시하는 지역입니다.
● 경제 및 지정학적 영향
항목 | 영향 내용 |
원유 가격 | 해협 긴장 → 즉시 국제 유가 상승 |
해운과 보험 | 위기 시 선박 보험료 급등, 운송 지연 발생 |
지역 안보 | 중동 전쟁 가능성 촉진, 미국과 이란의 대치 심화 |
에너지 안보 | 한국, 일본, 중국 등 중동 의존국가의 전략적 위기 요소 |
● 최근에 있었던 주요 이슈 사례
연도 | 사건 |
2019 | 이란, 영국 유조선 나포 / 미국 드론 격추 / 걸프 해역 유조선 피습 사건이 있었습니다. 같은 해, 이란도 “미국 정찰 드론을 격추했다”고 발표하며 드론과 전자전의 새로운 무대가 호르무즈 해협이었습니다. 이때 사용된 드론은 RQ-4 Global Hawk, 가로 40m의 대형 무인기였으며, 이란은 이를 격추해 세계를 놀라게 했습니다. |
2020 | 이란 혁명수비대 해협 통과 미군 감시 증가 |
2023 | 미국, 무인 감시선 및 항공모함 배치 강화 |
2024 | 후티 반군의 홍해 봉쇄와 함께 호르무즈 해협 우회 경로 주목 |
● 해협 봉쇄 가능성에 대한 시나리오
- 이란의 봉쇄 위협 : 이란은 자국에 대한 제재가 심화될 경우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하겠다고 여러 차례 경고했습니다.
- 미국의 대응 : 국제해상자유 수호 명분으로 항시 항공모함·구축함 배치, 다국적 해군 훈련 등 대비 중.
- 우회 경로 : 일부 산유국은 육상 송유관(예: UAE의 아부다비-푸자이라 송유관)을 이용 중이나, 대체 수송능력은 제한적입니다.
호르무즈 해협은 단순한 바닷길이 아니라 지정학적 전선, 경제 생명선, 군사 전략지대입니다. 이곳의 정세는 곧바로 국제 원유 가격, 에너지 안보, 중동 정세에 영향을 미치며, 한국을 포함한 주요 원유 수입국들에게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반응형
'세계 속으로 > 해피재키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위산 위의 낙원, 남경 위엔보위엔 반얀트리 (南京园博园悦榕庄) 여행하기 (29) | 2025.06.21 |
---|---|
중국 심천(Shenzhen)에서 수영가능한 무료해변 8곳 🏖️ (20) | 2025.06.15 |
세계 최장 해저 고속철도 미리 보기, 상하이에서 저우산까지 (6) | 2025.06.05 |
다시 재개한 중국-베트남 국제열차 (48) | 2025.05.29 |
중국 결혼 지참금 지역별 비교하기 (14) | 2025.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