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 정보/해피재키 기념일

세계 기념일, 3월 30일 '국제 폐기물 제로의 날(International Day of Zero Waste)' 🌐

Happy Jackie 2025. 3. 30. 00:21
반응형

매년 3월 30일은 국제 폐기물 제로의 날(International Day of Zero Waste)로, 전 세계가 폐기물 감축과 순환 경제 실현을 위한 중요성을 되새기는 날입니다. 이 날은 2022년 유엔 총회에서 공식 채택되었으며, 환경 오염과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폐기물 최소화, 재활용, 업사이클링 등의 실천을 강조하는 날입니다.


● 국제 폐기물 제로의 날의 제정 배경과 목적


제정 배경으로는 2022년 12월 14일 유엔 총회(UN General Assembly)에서 터키 주도로 결의안(A/RES/77/161) 채택하였습니다.  2017년 터키 영부인 에미네 에르도안 여사가 시작한 '제로 웨이스트 프로젝트'가 국제화 계기가 되었으며, 유엔환경계획(UNEP)과  UN-Habitat이 공동 주관하며 2023년 첫 공식 기념을 하였습니다. 대한민국은 2022년 기준 생활폐기물 재활용률 60.2% 달성(환경부 통계) 하였습니다. 

 

제정 목적

- 폐기물 발생 억제 : 일회용 플라스틱, 음식물 쓰레기, 전자 폐기물 등 불필요한 쓰레기 감축하기 위함입니다.   
- 순환 경제 촉진 : "버리는 문화"에서 "다시 쓰고 재활용하는 사회"로 전환하고자 합니다.   
- 환경 보호 인식 확산 : 개인, 기업, 정부 차원의 지속 가능한 소비 습관 장려하기 위함입니다.   

 

● 주요 행사 및 실천 방안


- 캠페인 및 교육 활동 : 학교, 기업, 지역사회에서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 운동 홍보합니다.   
- 정책 논의 : 각국 정부의 폐기물 관리 정책 강화 및 재활용 인프라 확충 논의하기도 합니다.   
- 개인 실천 : 텀블러 사용, 장바구니 활용,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등 일상 속 작은 실천 유도합니다.    


● 왜 이날이 중요한가?


글로벌 폐기물 문제의 심각성

전 세계 폐기물 발생량은 연간 20억 톤 이상(세계은행 2022)이며, 2050년 예상량 34억 톤(현 추세 유지 시)이고, 1인당 일일 발생량은 선진국 1.4kg vs 개발도상국 0.6kg입니다. 

 

주요 폐기물 유형별 위험성

  • 플라스틱: 연간 4억 톤 발생, 1,900만 톤이 해양 유입(UNEP)
  • 전자폐기물(WEEE): 2023년 5,740만 톤, 재활용률 17.4% 미만(Global E-waste Monitor)
  • 식품폐기물: 전 세계 생산량의 33% 손실(FAO)

전 세계 폐기물 발생 TOP 10 국가

# 자료: World Bank "What a Waste 2.0"(2023), OECD 폐기물 통계

 

 주요 국가별 특징 분석

  1. 미국 (1인당 최다 발생)
    • 연간 플라스틱 폐기물 42백만 톤 (전 세계의 17%)
    • 캘리포니아주는 2030년까지 75% 재활용률 목표
  2. 독일 (재활용률 세계 1위)
    • 그뤼네 폰트(Grüne Punkt) 시스템으로 포장재 90% 회수
    •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율 85%
  3. 대한민국 (OECD 플라스틱 소비 1위)
    • 1인당 연간 플라스틱 사용량 98kg (OECD 평균 65kg)
    • 음식물 쓰레기 처리비용 연간 8조 원 소요
  4. 스웨덴 (에너지 회수율 99%)
    • 쓰레기 소각열로 25만 가구 난방 공급
    • 노르웨이에서 연간 80만 톤 폐기물 수입 처리
  5. 인도 (급증하는 전자폐기물)
    • 델리만 해도 일일 11,000톤 폐기물 발생
    • 공식 재활용률 9.7%지만 비공식 재활용 시장 활발

폐기물 유형별 국가 비교

 

한국현황

 

유엔환경계획(UNEP)에 따르면, 매년 20억 톤 이상의 도시 폐기물이 발생하며, 이 중 45%만 제대로 처리되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플라스틱 폐기물은 해양 생태계를 위협하며,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메탄 가스는 기후 변화를 악화시키는 요인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