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2

구조화 채권, 증시 방어 및 수익 동시 가능

시중에는 채권과 위험자산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채권이라 할 수 있는 구조화 채권(structured notes)이라는 금융상품이 있다. 전통적인 채권의 성격을 가지면서도 결과적으로 채권보다 높은 수익 포텐셜을 가져갈 수 있다. 모든 투자자에게 적절하다고 할 수는 없지만 잘 활용하면 포트폴리오 전반의 자금증식 효과와 리스크 분산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 요즘과 같은 불투명한 시장환경일 때 효용가치가 더 클 수도 있다. 구조화 채권이란 무엇인가요? 가장 간단한 정의는 주식, 금리, 통화 등 다양한 기초자산의 가격변동과 연계한 채권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형 투자은행들이 발행한다. 투자은행들의 채권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법적으로는 분명 채권으로 분류되는 금융상품이지만 엄밀하게 말하면 채권과..

경제 소식 2023.07.05

내 맘대로 되지 않는 것 두 가지, 자식과 환율

세상에서 내 마음대로 안 되는 게 자식하고 환율 입니다. 둘 다 내 마음대로 되지 않습니다. 내 마음으로 안 되는 환율 누가 정할까요? 정답은 나라마다 다르다라는 겁니다. 그럼 환율에 대해 알아 보기로 하겠습니다. 고정환율 vs 변동환율 환율을 정하는 제도는 크게 고정환율제과 변동환율제로 나누게 됩니다. 고정환율제에는 통화통맹, 통화위원회 제도, 전통적 페그제도, 수평밴드 페그제도, 크롤링 페그제도로 나눕니다. - 통화 동맹 : 두 가지 이상의 국가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통화를 가지고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국제적인 통화협정이나 화폐연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통화위원회제도 : 중앙은행의 정책결정 기구로 사용되는 제도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을 결정하고 실행하는데 ..

경제 소식 2023.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