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취업 정착지원금이란?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하고 고용노동부, 외교부, KOTRA 등 유관기관이 협력하는 "해외취업 정착지원금 사업"은 해외에서 정규직 취업에 성공한 청년들이 조기 정착과 지속적인 경력 개발을 이어갈 수 있도록 최대 500만 원을 지급하는 국가 지원 정책입니다. 2025년에는 총 3,900명을 대상으로 예산 소진 시까지 순차적으로 접수 및 지급이 이뤄집니다. 하지만 단순히 해외 취업을 했다고 무조건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은 아닙니다. 지원 자격, 신청 절차, 제출 서류 등 세부 요건을 반드시 충족해야 합니다.
지원 대상과 자격 요건
지원 대상은 만 34세 이하 청년입니다. 단, 군 복무 기간에 따라 최대 만 39세까지 신청할 수 있으며, 본인뿐 아니라 부모·배우자·자녀의 소득을 합산해 건강보험료 기준 가구 소득 8분위 이하(위 표 참고)인 경우에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해외 현지 기업(다국적기업, 로컬기업, 한상기업 포함)과 정규직으로 1년 이상 근로계약을 체결해야 하며, 연봉은 최소 1,700만 원 이상이어야 합니다.
근무지가 해외라면 국내기업의 해외법인 근무자도 지원 가능하다는 것이 눈여겨볼 점이다. 취업비자는 반드시 취업 목적의 정식 비자(Z 비자, H1B, EP 등)를 소지해야 하며, 워킹홀리데이 비자는 원칙적으로 제외되나, K-MOVE 스쿨 등 공단 주관 프로그램을 거친 경우에 한해 예외적으로 인정된다.
취업 직종의 경우, 통계청 한국표준직업분류표에 따라 청소원, 주유원, 음식 서빙, 가사도우미 등 단순 노무직은 신청 대상에서 제외된다.
해외취업 정착지원금은 월드잡플러스(www.worldjob.or.kr)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으며, 회원가입 후 취업 사실 확인, 설문조사 및 신청서 작성, 서류 제출만 완료하면 심사를 거쳐 최종 승인됩니다.
월드잡플러스
한국산업인력공단 운영, 해외취업, 해외진출정보, 해외채용공고, K-Move스쿨, 해외취업정착지원금 등
www.worldjob.or.kr
신청 기한은 차수별 근무 시작일부터 산정되며, 1차를 건너뛰고 곧바로 2차와 3차 지원금에 신청할 수는 없습니다. 2차 지원금은 반드시 1차 지원금을 수령한 경우에만 신청할 수 있고, 3차 지원금 역시 1,2차를 모두 수령한 경우에 한해 신청이 가능합니다. 한편, 1차 지원금에 최종 승인된 신청자는 2차와 3차 신청 시 제출해야 하는 서류가 간소화됩니다.
신청 시기와 금액, 주의사항
신청 기한의 경우, 1차는 근무 시작 후 1개월이 경과한 시점부터 8개월까지 신청할 수 있고 250만 원이 지급됩니다. 2차는 6개월 이상 실근무 후 10개월 시점까지 신청 가능하며 100만 원이 추가됩니다. 마지막으로 3차는 총 실근무 기간이 12개월을 넘긴 시점부터 16개월까지 신청 가능하고 150만 원이 지급되어, 총 50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지원 기간 중 이직은 최대 1회까지만 허용됩니다.
예를 들어, 지원자가 A사에서 3개월, B사에서 9개월간 근무하여 총 12개월의 해외 근무 경력을 쌓은 경우, 전체 근무 기간이 12개월 이상이므로 3차 지원금까지 신청 요건을 충족하게 됩니다. 반면, A사에서 6개월, B사에서 3개월, C사에서 3개월간 근무한 경우에도 총 근무 기간은 동일하게 12개월이지만, 이직 횟수가 두 차례에 이르기 때문에 3차 지원금은 신청할 수 없습니다. 이는 정착지원금 사업 지침상, 지원 기간 중 이직이 2회를 초과할 경우 차수와 관계없이 지원금 신청이 제한되도록 명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원금을 신청할 때는 총 근무 기간뿐만 아니라 이직 횟수에도 유의해야 합니다.
청년 해외취업의 든든한 제도적 지원
해외취업 정착지원금은 일정 요건만 충족하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무상형 청년 지원제도입니다. 개인의 힘만으로는 벅찰 수 있는 해외 정착 과정에, 한국 정부가 제도적 장치를 통해 든든한 지원군이 되어주는 셈입니다. 특히, 졸업을 앞둔 유학생이나 현지 취업을 고민 중인 청년에게는 ‘취업’과 ‘정착’이라는 두 과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전략적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정보는 곧 기회입니다. 정부 제도를 충분히 이해하고 미리 준비한다면, 낯선 땅에서도 한층 수월하게 정착할 수 있을 것입니다.
'경제 소식 > 해피재키 경제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르신 품위유지비 지급받기 (12) | 2025.06.17 |
---|---|
희토류 관련 정보 총정리 (32) | 2025.05.20 |
미중 관세협정과 새로운 국면 – 불확실성 속에서 찾는 기회 (20) | 2025.05.15 |
중고차 시장, 위기 속 기회 찾기 🚗 (34) | 2025.05.11 |
태국 경제 관련 현지 언론동향 (30)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