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소식/해피재키 경제소식

희토류 관련 정보 총정리

Happy Jackie 2025. 5. 20. 14:56
반응형

희토류(稀土類, Rare Earth Elements, REEs)는 현대 산업과 첨단 기술에 필수적인 원소군으로, 주기율표 57번 원소인 란타넘(La)부터 71번 루테튬(Lu)까지의 15개 란타노이드(Lanthanides) 원소와 스칸듐(Sc), 이트륨(Y)을 포함하여 총 17개 원소를 의미합니다.

1. 희토류 원소 목록과 주요 용도

번호 원소기호 원소명 주요 용도
1 Sc 스칸듐 항공 우주 합금,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첨가제
2 Y 이트륨 세라믹, 레이저, LED, 의료용 세라믹 재료
3 La 란타넘 카메라 렌즈, 촉매, 배터리(니켈-수소)
4 Ce 세륨 광택제, 자동차 배기가스 촉매, 유리 제조
5 Pr 프라세오디뮴 자석, 항공기 엔진 합금, 컬러 TV 화면
6 Nd 네오디뮴 초강력 자석(NdFeB), 윈드터빈, 하이브리드차
7 Pm 프로메튬 방사성 배터리(희귀, 주로 연구용)
8 Sm 사마륨 자석(SmCo), 원자로 제어봉
9 Eu 유로퓸 TV, LED, 형광체, 항공우주용 합금
10 Gd 가돌리늄 MRI 조영제, 중성자 차폐, 자석
11 Tb 터븀 녹색 형광체, 자기 냉각 기술, 연료전지
12 Dy 디스프로슘 고온 자석, 핵원자로, 하이브리드차
13 Ho 홀뮴 레이저, 자기장 조정 재료
14 Er 어븀 광섬유 증폭기, 레이저, 의료용 장비
15 Tm 툴륨 레이저, 의료용 X-선 장비
16 Yb 이터븀 광섬유 레이저, 태양광 패널, 금속 합금
17 Lu 루테튬 PET 스캔 조영제, 고급 세라믹

2. 희토류의 주요 특징

  • 화학적 특징 : 희토류 원소들은 화학반응에서 대부분 +3의 산화수를 가지며, 이는 전자 배치상 가장 안정한 상태입니다. +3 전하와 큰 이온 반지름 덕분에 주변 분자들과 잘 결합하여 복잡하고 안정적인 배위화합물을 잘 형성합니다. 이 특성은 산업적으로 분리·정제·소재 개발·의료 기술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 자기적 성질 : Nd, Sm, Dy 등은 강력한 영구자석 제조에 필수요소입니다. 희토류 원소는 전자의 특별한 운동(스핀)과 배열 덕분에 매우 강한 자석을 만들 수 있게 해줍니다. Nd는 강력한 자성을, Sm은 고온에서도 자성을 유지하게, Dy는 고온 내열성을 높여줍니다. 그래서 전기차, 스마트폰, 풍력발전기, MRI 등 첨단 산업에서는 이런 희토류 자석이 꼭 필요합니다.
  • 광학적 특성 : 유로퓸(Eu)은 강렬한 빨간색, 터븀(Tb)은 선명한 초록색 빛을 잘 만들어내는 능력이 있습니다. 이 특성 때문에 TV, 스마트폰, LED 조명, 자동차 램프 등에서 색을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꼭 필요한 물질입니다. 화면이 더 생생하고 화려해지는 것은 바로 이런 희토류 형광체 덕분입니다.
  • 의료 분야 : MRI에서 잘 보이지 않는 부위를 선명하게 보이게 하려면 조영제가 필요합니다. 가돌리늄(Gd)은 자기적 특성이 매우 강해, MRI 영상의 대비와 해상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독성을 없앤 안전한 화합물 형태로 주입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체외로 배출됩니다.

3. 희토류 생산 및 매장량 현황 (2024년 기준)

국가 매장량(만 톤) 생산량(톤) 비고
중국 4,400 240,000 세계 생산량 70% 이상 차지
미국 200 43,000 마운틴 패스 광산 운영 중
호주 410 20,000 Lynas Corporation 주도
러시아 120 2,600 군사, 첨단 기술용 자국 소비 위주
인도 69 2,800 고순도 희토류 정제 기술 미흡
베트남 2,200 4,000 최근 개발 확대 중
브라질 2,200 3,000 주요 매장지 개발 지연
기타 - 10,000 아프리카, 미얀마 등

희토류 채굴현장 (이미지출처 : 바이두)

4. 희토류 관련 주요 산업

◎ 자동차 산업 : 하이브리드 / 전기차 모터, 배터리

✔ 자동차의 어떤 부품에 사용되나요?

  •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차의 구동 모터 : 초강력 네오디뮴(Nd) 자석을 사용하여 작고 강력한 전기 모터를 만듭니다. 디스프로슘(Dy) 은 고온에서 자석 성능이 떨어지지 않도록 보완합니다.
  • 배터리(특히 니켈-수소 배터리) : 란타넘(La) 이 배터리의 수소 저장 합금에 사용됩니다. 세륨(Ce) 도 산화환원 촉매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 왜 중요한가요?

  • 희토류 자석을 사용하면 모터 크기는 작고, 효율은 높고, 에너지는 적게 씁니다. 전기차의 연비와 출력 모두를 향상시키는 데 핵심입니다. 

◎ 전자산업 : 스마트폰, 노트북, LCL, OLED, 반도체

✔ 어디에 들어가나요?

  • 스마트폰/노트북의 진동자, 마이크로모터 : Nd 자석으로 작동
  • 화면(디스플레이) :
    • 유로퓸(Eu) → 빨간색 형광
    • 터븀(Tb) → 녹색 형광
    • 이트륨(Y) → 형광체 바탕 재료
  • 카메라 렌즈 : 란타넘(La) 을 첨가한 유리는 빛의 굴절률이 우수해 선명한 사진을 가능하게 합니다.

✔ 왜 중요한가요?

  • 스마트폰의 소형화·경량화·고화질 기능은 모두 희토류 덕분에 가능해졌습니다.

◎ 신재생 에너지 : 풍력발전기, 태양광 발전, 전력변환장치

✔ 어디에 쓰이나요?

  • 풍력 발전기 : 회전하는 터빈에 Nd-Fe-B 영구 자석 사용되며, 디스프로슘(Dy) 이 내열성을 높여줍니다
  • 태양광 발전 : 태양광 셀의 전자 흐름을 조절하거나 희토류 기반 세라믹 재료 사용되며, 이터븀(Yb) 은 고효율 변환에 사용 됩니다. 
  • 전력 변환 장치(인버터, 컨버터) : 고성능 자성 재료와 절연체로 희토류가 사용됩니다. (예: 가돌리늄, 사마륨 등)

✔ 왜 중요한가요?

  • 고효율 자석과 소재 덕분에 재생에너지 시스템이 작고 가볍고 강력해지며, 에너지 손실도 적습니다.

◎ 국방 : 레이저, 미사일 유도 장치, 레이더

✔ 어디에 사용되나요?

  • 레이저 무기/측정 장비 : 네오디뮴(Nd), 어븀(Er), 툴륨(Tm) 등은 고출력 레이저 광원에 사용됩니다.
  • 미사일 유도 시스템 / 정밀 센서 : 사마륨-코발트(Sm-Co) 자석이 안정적 작동을 가능하게 합니다.
  • 레이더 장비 :고자기 특성을 가진 희토류 자석 사용으로 정밀한 신호 분석 가능

✔ 왜 중요한가요?

  • 정밀 유도, 고온 고압에서도 안정적인 성능 유지가 필요한 군사 장비에 희토류 소재는 필수적입니다.

◎ 의료 : MRI, 방사선 치료, 진단 장비

✔ 어디에 사용되나요?

  • MRI 조영제 : 가돌리늄(Gd) 은 MRI 영상의 대비를 높이는 조영제로 사용됩니다.
  • 방사선 치료 장비 :희토류 산화물이 고온 안정성과 자기 특성으로 방사선 차폐 및 조사 장비 재료로 쓰입니다.
  • 레이저 수술기기 및 진단 센서 :네오디뮴(Nd), 어븀(Er), 홀뮴(Ho) 기반 레이저는 조직 절개 또는 비침습 치료에 사용됩니다.

✔ 왜 중요한가요?

  • 영상 진단의 정확도, 수술의 정밀도, 치료 장비의 안전성이 희토류 덕분에 높아집니다.

5. 희토류 공급망 리스크와 국제적 대응

● 공급망 리스크

희토류는 전기차, 스마트폰, 풍력 발전기, 반도체 등 첨단 산업에 필수적인 자원입니다. 하지만 이 희토류의 전 세계 생산량 중 70% 이상이 중국에서 나옵니다. 중국은 단순히 생산국일 뿐만 아니라, 희토류 정제·가공 기술에서도 가장 앞서 있기 때문에, 다른 나라들은 희토류를 원활히 확보하려면 중국에 의존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지정학적 리스크를 초래합니다. 실제로 중국은 자국의 정치적 입장을 관철시키기 위해 희토류 수출을 전략적 무기처럼 사용한 적도 있습니다.

 

2010년, 중국은 일본과의 외교 갈등(센카쿠 열도 분쟁) 중 일본에 대한 희토류 수출을 갑자기 중단했고, 이로 인해 일본의 산업계는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이런 사건은 전 세계적으로 “희토류 공급망을 중국에만 의존해서는 안 된다”는 인식을 확산시켰고, 여러 나라들이 자국의 전략을 강화하기 시작했습니다.

 

● 각국의 대응 전략

미국 - 자체 생산 확대 + 동맹국과의 공급망 협력

  • 미국은 자국 내에 있는 마운틴 패스(Mountain Pass) 광산을 다시 본격적으로 가동하고 있습니다.
  • 단순 채굴을 넘어서, 정제·가공 공정까지 자국 내에서 처리하려는 노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또한 호주, 캐나다, 일본 등 동맹국들과 협력하여 희토류 공급망을 다변화하고, 특정 국가(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있습니다.
  • 미국 국방부는 국방 목적의 희토류 확보를 위해 정부 차원의 비축 계획도 진행 중입니다.

유럽연합(EU) -  "European Raw Materials Alliance" 설립

  • 유럽연합은 2020년에 ‘유럽 원자재 동맹(European Raw Materials Alliance, ERMA)’를 창립했습니다.
  • 이 조직은 희토류를 포함한 전략적 광물 자원의 공급 안정성 확보를 목표로 합니다.
  • EU 내에 존재하는 잠재적 자원을 조사하고,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채굴 기술 개발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 동시에 재활용 기술 투자, 국제 파트너십 구축, 연구개발 지원 등을 통해 장기적으로 독립적인 공급망을 갖추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한국 - 기술 개발과 재활용에 집중

  • 한국은 ‘희소금속 확보 전략’을 세워, 2024년까지 전략 비축량을 100일 이상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LG화학, 포스코 등 기업들이 희토류 대체 소재  희토류 회수 기술 연구에 집중하고 있으며,
  • 정부는 재활용 설비 구축과 친환경 정제 기술 개발에 국가 연구개발 자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일본

  • 희토류 공급 중단을 직접 경험한 나라로, 재활용 기술 개발에 세계 최고 수준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 폐전자기기, 자동차 부품 등에서 희토류 자원을 회수하는 고순도 재활용 공정을 상용화하고 있습니다.
  • 또한 베트남, 호주 등과의 협력으로 해외 광물권 확보에도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6. 희토류 재활용 및 대체 기술 동향

✔ 희토류 재활용 및 대체 기술이 왜 중요한가요?

  • 희토류는 채굴 과정에서 환경 오염이 심각합니다. 게다가 대부분이 중국에서 생산되므로, 외교적 이슈가 생기면 공급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전기차, 스마트폰, 풍력 터빈, 군수 장비 등 핵심 산업에 꼭 필요한 원소이기 때문에, 재활용 기술 확보는 국가 전략이 되었습니다.

✔ 주요 재활용 대상은 무엇인가요?

대상 물질 포함된 희토류 예시
폐자석 (Nd-Fe-B) Nd, Dy, Pr 전기차 모터, 풍력 터빈, 하드디스크
폐배터리 (NiMH 등) La, Ce, Pr, Nd 하이브리드차, 전동공구
폐전자기기 Eu, Tb, Y, La 등 TV, 스마트폰, 조명, 스피커

✔ 주요 재활용 기술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요?

  1. 습식 공정 (Hydrometallurgy)
    • 강한 산(황산, 질산 등)에 폐자재를 녹여 희토류 이온만 분리하는 방식
    • 정밀하고 회수율이 높지만, 폐수 및 화학물질 관리가 필요
    • 일본과 한국은 습식 정제 기술이 발전되어 상용화 단계에 진입 중
  2. 건식 공정 (Pyrometallurgy)
    • 고온으로 금속을 녹이고 증발점을 이용해 분리
    • 환경 부담은 적지만 에너지 소비가 큼
  3. 생물학적 추출 (Bioleaching)
    • 미생물이나 박테리아를 이용해 희토류를 천천히 녹여내는 기술
    • 저에너지·저오염 방식으로 미래형 기술로 주목
    • 개발 속도는 느리지만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매우 유망
  4. 자기선별·이온흡착 기술
    • 희토류 이온만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수지를 사용해 정밀 추출
    • 전자 폐기물에서 Nd, Dy를 고효율로 회수할 수 있는 스마트 센서도 개발 중

✔ 왜 희토류를 대체해야 하나요?

  • Nd, Dy, Sm 등이 들어간 희토류 자석은 성능이 매우 우수하지만 매우 비싸고 공급 불안정합니다.
  • 특히 전기차, 드론, 풍력발전기처럼 대량으로 쓰이는 분야에서는 대체 자석이 필요합니다.

✔ 희토류는 어떤 배터리에 들어가나요?

  • NiMH 배터리(Nickel-metal hydride) : 하이브리드차에 많이 쓰이며, 란타넘(La), 세륨(Ce), 프라세오디뮴(Pr) 등이 사용됩니다.  이는 에너지 밀도는 낮고 희토류 사용량은 많아 대체품이 필요합니다.
  • 대체 기술
배터리 종류 특징 장점 단점
리튬-황 (Li-S) 리튬과 황 사용 에너지 밀도 높고 가벼움 충전 사이클 수명 짧음, 아직 실험단계
리튬-공기 (Li-Air) 공기 중 산소와 반응 이론상 가장 높은 에너지 밀도 안정성·충전 효율 문제 미해결
고체 전해질 배터리 (All-solid-state) 액체 전해질 없음 폭발 위험 ↓, 희토류 없음 제조 기술 복잡, 가격 높음

 

기존 디스플레이는 어떤 희토류를 쓸까요?

색상 사용되는 희토류 원소
빨간색 유로퓸 (Eu)
녹색 터븀 (Tb)
파란색 일부는 희토류, 일부는 질화갈륨(GaN)

이 희토류 형광체는 선명한 색을 내는 데는 뛰어나지만, 값이 비싸고 채굴도 환경오염을 유발합니다.

● 대체 기술

기술 설명 장점
퀀텀닷 (Quantum Dot) 나노 입자가 빛을 흡수하면 정확한 파장의 빛 방출 희토류 없이 선명한 색상 구현 가능, 현재 QLED TV 상용화됨
페로브스카이트 형광체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소재 낮은 비용, 고휘도 발광 가능성
유기 발광체 (OLED) 전기 자극 시 자체적으로 빛을 냄 자가 발광 구조로 백라이트 불필요, 희토류 없음

삼성·LG·소니 등은 이미 퀀텀닷 디스플레이를 상용화했고, OLED는 유로퓸 없는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7. 향후 전망

  • 시장 전망 : 2030년까지 희토류 수요 2배 이상 증가 예상됩니다. (전기차, AI, 반도체, 신재생 에너지 산업 성장)
  • 가격 동향 : 네오디뮴, 디스프로슘 등의 가격은 최근 고점 이후 다소 하락세이나, 장기적으로 상승세가 유지될 전망입니다.
  • 정책 전망 : 공급망 보호를 위한 전략적 비축 확대. 환경오염 문제로 인한 친환경 채굴 기술 개발이 필요합니다.

✔ 왜 전략적으로 ‘비축’ 해야 할까요?

  • 희토류는 첨단 산업에 꼭 필요한 자원이지만, 세계 생산의 대부분(약 70%)이 중국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 만약 중국이 수출을 제한하거나 공급에 문제가 생기면, 전기차, 스마트폰, 군수장비 생산이 마비될 수도 있습니다.
  • 2010년, 중국이 일본과의 갈등 때문에 희토류 수출을 제한하면서 전 세계 가격이 폭등했던 사건이 있었습니다.

✔ 그래서 각국이 하는 일은?

  • 미국, 일본, EU, 한국 등은 희토류를 석유처럼 “비상용으로 쌓아두는” 전략 비축을 시작했습니다.
  • 우리나라 산업통상자원부도 2024년부터 희귀금속 비축량 확대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 기존 희토류 채굴의 문제점은 무엇인가요?

  • 희토류는 땅속에서 다른 금속과 섞여 있는 상태로 존재합니다. 이걸 분리하려면 강한 산(황산, 질산) 을 써야 하고, 그 과정에서 방사성 폐기물, 중금속, 오염된 물이 나오게 됩니다.
  • 특히 중국은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채굴했지만, 환경 피해(토양오염, 수질오염, 주민 건강 문제)가 심각하게 발생했어요.

✔ 그래서 채굴 방법이 어떻게 바뀌고 있나요?

  • 여러 나라들이 더 깨끗하고 안전한 채굴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기술 설명
생물학적 채굴 (Bioleaching) 미생물을 이용해 희토류를 추출함 → 독성 화학물질 줄임
이온교환법 산 대신 물리적 이온 교환 방식으로 희토류 추출
재활용 기술 폐전자제품에서 희토류를 회수 → 채굴 자체를 줄임
“ 쉽게 설명하면 환경 파괴 없는 방법으로 희토류를 캐자”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반응형